Surprise Me!

[여의도풍향계] 이준석發 세대교체 정치권 상륙…대선판도 흔드나

2021-06-13 0 Dailymotion

[여의도풍향계] 이준석發 세대교체 정치권 상륙…대선판도 흔드나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1985년생 이준석 당대표 당선으로 정치권의 세대교체 구호가 현실이 됐습니다.<br /><br />낡은 정치에 대한 불신이 탄생시킨 '이준석 현상'이 세대교체를 넘어 주류교체까지 불러올지, 이번주 여의도 풍향계에서 박초롱 기자가 짚어봤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정치권은 '이준석 현상'을 MZ세대가 하나의 세력으로 등장한 일대 사건으로 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준석 대표 본인조차 "한 달 전까지만 해도 상상 못 했던 일"이라고 말합니다.<br /><br />이런 변화의 바람, 어떻게 불었을까요?<br /><br />박근혜 대통령 퇴진을 외친 2016년 겨울 촛불집회로 거슬러 올라가 보겠습니다.<br /><br />당시 2030은 변화를 꾀했으나 주도하진 않았습니다.<br /><br />4050과 진보진영에 기대 문재인 정권 탄생에 일조했습니다.<br /><br />'조국 사태'로 대표되는 공정과 부동산 문제에 분노했지만, 작년 4월 총선 때까진 민주당에 힘을 실었습니다.<br /><br />MZ세대가 집단 표심을 나타낸 기점은, 국민의힘이 압승한 4·7 재보선입니다.<br /><br />조금씩 쌓여온 실망과 분노가 'LH 사태'로 임계점에 도달하면서 처음으로 4050에서 벗어난 '분리 투표'를 했다는 게 여론조사 전문가들의 분석입니다.<br /><br />이런 흐름은 이준석 당대표 탄생으로 이어졌습니다.<br /><br /> "정치 전반에서 젊은 세대가 그들의 어젠다를 다루지 못했던 것을 굉장히 마음 아프게 생각합니다. 젊은 세대의 어젠다들을 많이 발굴해서 논제로 올리도록 하겠고요."<br /><br /> "단순히 나이에 따른 세대교체 바람이 아니라 새로운 정치 주도권의 변화, MZ세대가 주도권을 가져가는 세대가 되겠다는, 그래서 청년세대의 문제를 직접 해결해보겠다는 의지로 풀이됩니다."<br /><br />집단화·세력화한 MZ세대는 야당 대표 얼굴을 바꾸는 것을 넘어 내년 대통령 선거에도 중요 유권자로 부각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작년 총선 유권자 기준으로 20대는 680만명, 30대는 699만명. 전체 유권자의 34%입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는 4050과 중도층 표심이 중요했다면, 차기 대선은 누가 2030세대의 마음을 잡느냐의 싸움이란 겁니다.<br /><br />'이준석 나비효과'로 90년대 학번·70년대생으로 민주당 대권주자 중 가장 젊은 박용진 의원이 여론조사 3위로 올라섰고.<br /><br /> "(이준석 현상으로 변화가 나타나고 있는) 야당 쪽 냄비 한 쪽만 끓지 않을거라거 생각합니다. 물은 전체 같이 끓을 거라고 생각하고 그 끓는 물에 국민의 정치 변화에 대한 열망, 새로운 인물, 새로운 가치…"<br /><br />대통령 출마 자격을 40세로 제한한 헌법 조항을 손보자는 제안은 여야를 막론하고 뜨거운 이슈로 떠올랐습니다.<br /><br /> "청년이라는 나이는 당대표를 하는 데에도 아무 문제가 없고, 이제 2030의 대통령 출마를 가로막을 합리적 이유도 없습니다."<br /><br /> "(대통령 선거 출마 연령) 40세 제한은 군부독재의 잔재라고 생각합니다."<br /><br />여권 주자들은 세대·시대교체를 위해 청년들에게 판을 깔아주는 역할을 하겠다는 메시지를 발신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2030이 역사의 전면으로 등장하는 그 길을 열려고 하고, 그 도우미가 되고 '광재형'이 되려고 하죠."<br /><br />정치권은 세대교체 자체보다는 '주류교체'가 이뤄질지에 주목합니다.<br /><br />꼭 젊은 인물이 아니어도 시대정신을 읽는 정치인이 2030의 어젠다를 주도하며 판을 바꿀 수 있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한국 정치사에서 처음 세대교체와 주류교체가 동시에 일어난 건 1970년입니다.<br /><br />1969년 3선 개헌안 통과를 막지 못한 야당에서 인적 쇄신론이 터져 나왔고 당시 43세였던 김영삼, 46세였던 김대중 전 대통령이 '40대 기수론'을 외치며 주류교체까지 이뤄냈습니다.<br /><br />2000년 16대 총선 땐 여야가 동시에 세대교체에 나섰습니다.<br /><br />김대중 당시 대통령의 새천년민주당이 34세였던 임종석, 36세 이인영, 38세 우상호를 영입해 총선 후보로 공천했습니다.<br /><br />한 해 앞서 민주당 송영길 대표가 36세 때 인천 재보선에 출마하며 정치에 입문했습니다.<br /><br />현재 정치권 주류인 86세대가 전면에 등장한 시점입니다.<br /><br />이로부터 20년, 이준석 대표의 등장은 주류인 '86 민주화 세대' 퇴진의 신호탄이 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옵니다.<br /><br /> "MZ세대 선두주자인 이준석이 당대표가 됨으로써 자연스럽게 86세대는 퇴진을 요구받게 될 거고, 물러가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. 민주 대 반민주 시대가 막을 내리고 새로운 디지털 시대로 들어가고 있다고 봐야겠고, 당장 내년 지방선거부터 86세대가 아닌 MZ세대가 대거 출마하게 되지 않을까…"<br /><br />한편으로 '이준석 현상'은 정권 교체를 염원하는 보수의 전략적 투표 결과일 뿐 주류 교체의 신호탄으로 해석하긴 어렵다는 분석도 있습니다.<br /><br />정권 심판을 하고 싶어도 차마 국민의힘을 찍을 수 없던 유권자들을 끌어오기 위해 당의 얼굴을 바꾼 것이지, 기성 정치 자체가 바뀌는 건 쉽지 않다는 겁니다.<br /><br />실제로 이준석 대표는 선거운동 기간 내내 경륜이 짧아 대선 경선을 관리와 갈등 봉합이 어려울 것이라는 지적을 받았습니다.<br /><br />이준석 대표, 당선 후 수락 연설에서 안팎의 우려에 이렇게 답했는데요.<br /><br /> "변화에 대한 이 거친 생각들, 그걸 바라보는 전통적 당원들의 불안한 눈빛, 그리고 그걸 지켜보는 국민들에게 우리의 변화에 대한 도전은 전쟁과도 같은 치열함으로 비춰질 것이고, 이 변화를 통해 우리는 바뀌어서 승리할 것입니다."<br /><br />'이준석 바람'이 미풍에 그칠지, 강풍으로 정치권을 확 바꿔놓을지는 앞으로 지켜볼 일이지만, 이 바람을 끌어안을 정치인이 내년 3월 대선에서 유권자들의 마음을 얻을 수 있다는 건 분명해 보입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여의도 풍향계였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